辯(말씀 변) 解(풀 해) 辡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HSK6급

오늘 공부할 중국어 단어는 변명하다의 뜻인 辩解로 HSK6급 단어의 구성 한자인 辯(말씀 변) , 辡(따질 변) 포함자와 解 (풀 해) 두 한자에 대한 자원 분석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辩解 [biànjiě]

辩解 [biànjiě]…변명하다. 해명하다. (→辩护, 辩论, 争辩, 解释)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辩(말씀 변) 解(풀 해) 辡(따질 변) 한자 자원 분석
辩(말씀 변) 解(풀 해) 辡(따질 변) 한자 자원 분석

먼저 辩解 단어 구성 한자 중 辩를 살펴보겠습니다.

辩 [biàn] 번체 辯… 변론하다. (사물의 시비나 진위를) 논쟁하다 [따지다].(辨) 말재주가 좋다. 변설에 능하다.

辩(辯 말씀 변) = 辡(따질 변) + 言(말씀 언)

辩(말씀 변)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辯(말씀 변)자는 ‘말을 잘하다’나 ‘(말에) 조리가 있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말 잘할 변 辯’자는 말(言)로 분별해(辡) 명확하게 기술함을 말하며, 이로부터 변호(辯護)하다, 반박하다, 다스리다 등의 뜻이 나왔다. 辯자는 辡(따질 변) 자와 言(말씀 언) 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말씀 언 言’ 자는 입과 혀 그리고 ‘말’을 상징하는 가로획이 더해진 것이다. 사실 ‘말씀 언 言’ 자는 고대의 관악기와 사람의 입, 그리고 거기서 나오는 ‘소리’를 형상화한 것이다. ‘말씀 언 言’ 자는 악기의 ‘소리’에서 사람의 ‘말’로, 다시 말과 관련된 여러 뜻을 가지게 되었지만, ‘말씀 언 言’ 자로 구성된 글자에는 말에 대한 고대 중국인들의 부정적 인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그것은 ‘말씀 언 言’ 자의 자원이 인간의 영혼이나 정신과 관계없는 순수한 악기소리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정적 인식과 속임의 수단을 나타내는 글자들이 먼저 생성되었는데, 訛(거짓말 와), 謬(그릇될 류), 獄(옥 옥), 誅(벨 주), 變(변할 변) 글자 등이다. 반면에 이후에 이를 극복하려는 글자들이 생성되기 시작했는데, 謹(삼가할 근), 警(경계할 경), 謙(겸손할 겸) 자, 誠(정성 성), 信(믿을 신) 등이다.

辡(따질 변) = 辛(매울 신) + 辛(매울 신)

辡자는 진실을 주장하는 죄인들을 옳고 그른 ‘두 쪽으로 나누다’는 뜻이다. 죄인 둘이 서로 다투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따지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서로 다투는 것을 뜻하는 辡자에 言자를 더한 辯자는 서로 싸우는 사람들 사이에서 변론한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니까 辯자는 누구의 말이 옳은지 그른지를 대변해준다는 의미인 것이다. 분쟁 당사자들을 대변하기 위해서는 말솜씨가 뛰어나야 했을 것이다. 그래서 辯자는 ‘말을 잘하다’나 ‘조리가 있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辛(매울 신, 죄인 신)의 기본 의미

우리가 辯(말씀 변)한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자인 辛(매울 신, 죄인 신) 자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辛자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천간의 여덟째 글자로 쓰이는 辛:

䇂(허물 건)과 一(일)로 되었으며 䇂(건)은 죄를 뜻한다.

《說文》
秋時萬物成而孰;金剛,味辛,辛痛即泣出。从一从䇂。䇂,辠也。辛承庚,象人股。
설문에 나온 설명을 보면 “辛은 가을철에 만물이 숙성하게 된다는 뜻이다. 쇠(金)는 단단하면서 그 맛이 맵다. 지나치게 매우면 눈물이 나온다. 一 한 일을 따르고, 䇂 허물 건을 따른다. 사용하는 도구(a carving knife or a chisel)를 가리키며, 䇂 허물 건과 동자(同字)라고 보는 주장, 䇂 허물 건은 죄(罪)를 가리킨다. 죄인에게 묵형(墨刑)을 행할 때 있다. 辛(신)은 庚(경) 다음에 오며 사람의 넓적다리를 상징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갑골문의 자형은 문신이나 고문을 가할 때 쓰는 쇠꼬챙이 모양이며, 얼굴에 묵형을 가하면 그 고통이 심하기 때문에 ‘맵다’ ‘독하다’ ‘괴롭다’ 등의 뜻으로 쓰였다.

우리의 대표 간식 라면의 상표명에도 들어가는 辛자는 ‘맵다’나 ‘고생하다’, ‘괴롭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지금의 辛자는 ‘맵다’를 뜻하지만, 고대에는 ‘고생하다’나 ‘괴롭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왜냐하면, 辛자는 노예의 몸에 문신을 새기던 도구를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고대에는 붙잡은 노예의 이마나 몸에 문신을 새겨 포로나 노예로 표시했다. 辛자는 그 문신을 새기던 도구를 그린 것이다. 포로로 잡혀 노예가 된다는 것은 혹독한 생활이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래서 辛자는 ‘노예’를 상징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고생하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辛자에 ‘맵다’라는 뜻이 있는 것도 이들의 삶이 정말 눈물 나도록 고생스러웠기 때문이다. 다만 辛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단순히 ‘노예’와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辛은 갑골문에서 肉刑(육형)을 시행할 때 쓰던 형벌 칼을 그렸는데, 위쪽은 넓적한 칼날 아래쪽은 손잡이다. 辛(신)은 본래 의미가 노비나 죄인에게 먹물 문신을 뜨는 꼬챙이를 상형한 글자로 죄를 뜻하기도 한다.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죄를 뜻하는 辛(신)이 양손에 수갑을 찬 모양이며 辛은 죄인에게 형벌을 집행하고, 노예들에게 노예 표지를 새겨 넣던 도구로 쓰였다. 그래서 辛은 고통과 아픔의 상징으로 쓰여 ‘맵다’는 뜻까지 지칭하였다.

그리고 辛(매울 신, 죄인 신)자가 사용된 자주 쓰이는 한자로는 다음과 같은 한자들이 있습니다.

辟(임금 벽) = 辛(매울 신) + 𡰪(볼기 독)

辟(임금 벽, 피할 피)자는 원래 大辟(대벽, 사형)에서처럼 형벌 칼(辛)로 볼기(𡰪)의 살점을 도려낸 모습을 형상했으며, 그러한 형벌의 집행권을 가진 최고 실력자인 ‘임금’이라는 뜻까지 갖게 되었다.

妾(첩 첩) = 立(설 립,辛 생략형) + 女(여자 여)

남자 옆에 서서(立) 시중을 드는 여자(女)로 妾자는 ‘첩’을 뜻하는 글자이다. 妾자는 立(설 립, 辛 생략형) 자와 女(여자 여) 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辛자는 노예의 몸에 문신을 새기던 도구를 그린 것으로 ‘노예’를 상징하고 있다. 이렇게 노예를 뜻하는 辛자와 女자가 결합한 妾자는 ‘여자 노예’를 뜻했다. 노예 중 일부는 주인의 첩이 되기도 했기 때문에 妾자는 후에 ‘첩’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童(아이 동) = 立(설 립) + 里(마을 리)

童(아이 동)은 형벌 칼로 눈(目·목)을 자해 당한 노예로 쓸 사내를 말했는데, 아이’로 의미가 변했다. 童자는 ‘아이’나 ‘노복’, ‘눈동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갑골문에서의 童자는 辛(매울 신) 자와 目(눈 목) 자, 東(동녘 동) 자가 결합한 모습이었다. 여기서 東자는 발음요소이기 때문에 辛자와 目자만을 놓고 본다면 이것은 노예의 눈을 찌르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고대 중국 일부 지역에서는 노예의 한쪽 눈을 멀게 하여 저항하지 못하도록 했다. 童자는 그러한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노예’를 뜻했었다. 하지만 후에 ‘아이’라는 뜻으로 가차 되면서 본래의 의미는 더는 쓰이지 않고 있다.

辠(罪 허물 죄) = 自(스스로 자) + 辛(매울 신)

辠(허물 죄, 罪의 본래 글자)는 칼(辛)로 코(自 스스로 자, 鼻의 원래 글자)를 베어 냄으로부터 ‘죄’의 의미를,

辠(허물 죄)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辣(매울 랄) = 辛(매울 신) + 束(묶을 속)/(剌(어그러질 랄)

辣(매울 랄)은 칼로 도려내고(辛) 칼로 찌르는(剌(어그러질 랄의 줄임) 듯한 ‘아픔’을 말하며 많이 사용되는 중국 대표 매운 요리 麻辣烫[málàtàng] 마라탕에 사용된다.

辣(매울 랄)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辭(말 사) = 辛(매울 신) + 𤔔(어지러울 란)

辭(말 사)는 송사를 벌일 때 하는 말로부터 진실보다 과장되고 수식된 말(言辭 언사)을 뜻하게 되었는데, 辛을 뺀 왼편은 두 손으로 엉킨 실을 푸는 모습이다. 그래서 辭는 형벌 칼(辛)로 다스려야 할 만큼 복잡한 다툼에 등장하는 ‘말’을 지칭한다. 辭자는 𤔲처럼 辛은 司(맡을 사)로 바꾸어 쓰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도 뒤엉킨 실타래처럼 복잡한 ‘말’을 판단하고 관리한다(司)는 뜻을 반영했다.

辡(따질 변)은 진실을 주장하는 죄인들을 옳고 그른 ‘두 쪽으로 나누다’는 뜻이다.

辦(힘들일 판) = 辡(따질 변) + 力(힘 력)

辦은 힘써(力) ‘노력함’을,

辨(분별할 변) = 辡(따질 변) + 刂(칼 도)

辨은 칼(刀)로 나누듯 ‘분별함’

瓣(꽃잎 판) = 辡(따질 변) + 瓜(오이 과)

瓣은 외꽃(瓜)처럼 갈라진 ‘꽃잎’을

辮(땋을 변) = 辡(따질 변) + 糸(가는 실 멱)

실타래(糸)처럼 양쪽으로 ‘땋은 머리’를 말한다.

辬(얼룩얼룩할 반) = 辡(따질 변) + 文(글월 문)

무늬가 없는 부분과 구분되어지는(辡) 얼룩얼룩한 아롱진 무늬(文)

위 한자들은 모두 동일한 형태의 한자들로, 辛이 둘 모인 변(辡) 자 사이에 力(힘 력), 刀(칼 도), 言(말씀 언), 瓜(오이 과), 糸(가는 실 멱)을 넣어 구성되었다.

蟄(숨을 칩)= 執(잡을 집) = 虫(벌레 충) 간체자 蛰

蟄(숨을 칩)자는 24절기 중 세 번째에 해당하는 경칩(驚蟄) 자에 사용되는데, 執(집)은 매울 신(辛)과 알 환(丸)으로 짜여 있는데, 辛(신)은 본래 의미가 노비나 죄인에게 먹물 문신을 뜨는 꼬챙이를 상형한 글자로 죄를 뜻하기도 한다. 丸(환)은 화살 대신 활 시위(弓의 모양이 九로 변함)에 놓고 발사하는 둥근 탄환(丶)을 말한다. 그러나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죄를 뜻하는 辛(신)이 양손에 수갑을 찬 모양이며 丸(환)은 사람이 꿇어앉아 양손을 내민 모습이어서, 그 뜻은 ‘죄인을 붙잡아 두다’ ‘잡다’ 등의 뜻이 생긴 것으로 파악된다. 虫(충)은 벌레나 파충류, 그리고 양서류와 같은 생물들이 자신만이 들어갈 수 있는 굴이나 집을 지어 숨어든다는 뜻이 함축되어 들었다. 따라서 蟄(칩)의 전체적인 의미는 죄인을 붙들어 두거나 겨울 잠을 자는 벌레나 양서류 등이 땅속 혹은 스스로 만든 집에 웅크리고 숨어든 모양을 그려내고 있다

蟄(숨을 칩)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蛰[zhé] 번체 蟄…(동물이) 겨울잠을 자다. (→启蛰)

蛰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다음으로 辩解 단어 구성 한자 중 解를 살펴보겠습니다.

解(풀 해) =角(뿔 각) + 刀(칼 도) + 牛( 소 우)

解(풀 해)의 구성은 동물의 머리에 난 뿔을 상형한 뿔 각(角)과 칼 도(刀), 그리고 소 우(牛)로 이루어졌습니다. 갑골문과 금문을 살펴보면 칼(刀)이 아니라 두 손(廾)으로 그려져 있는데, 소(牛)를 잡을 때는 두 손(廾)으로 단숨에 쇠뿔(角)을 뽑아버림을 그려낸 것이었답니다. 이후 두 손(廾) 대신 칼(刀)로 바뀌었죠.

따라서 解(해)의 전체적인 의미는 소(牛)를 식용으로 할 때는 날카로운 칼(刀)로 두 뿔(角) 사이를 쳐 절명시킨 뒤 부위별로 해체한다는 데서 ‘가르다’ ‘해부하다’는 뜻뿐만 아니라 ‘깨닫다’ ‘통달하다’는 뜻으로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답니다.

‘풀 해 解’자는 부수이자 의미부인 ‘뿔 각 角’ 자와 또 다른 의미부인 ‘칼 도 刀’ 자, ‘소 우 牛’ 자로 이루어진 회의(會意) 자이다. ‘뿔 각 角’ 자는 갑골문에서 짐승의 뿔을 그렸는데, 무늬가 든 것이 특징이며, 모양으로 보아 소뿔로 보인다. 뿔은 머리에 달렸기 때문에 두각(頭角)에서 처럼 ‘머리’를, 뾰족하거나 모난 모습 때문에 각도(角度)를, 머리를 뿔 모양으로 맸다는 뜻에서 총각(總角)을, 뿔피리로 쓰였기 때문에 오음(五音) 즉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의 하나를 지칭하게 되었다.

뿔은 겉은 단단하지만 속은 부드러워 속을 파내면 잔이나 악기는 물론 다양한 장식물로 쓸 수 있기에 그런 것들을 지칭하기도 한다. ‘칼 도 刀’ 자는 칼의 모습을 그렸는데 자형이 조금 변해 지금처럼 되었다. 칼은 물건을 자르거나 약속 부호를 새기던 도구였다. 또 적을 무찌르는 무기였기에 ‘무기’를 지칭하기도 했고, 옛날의 돈이 칼처럼 생겼다고 해서 돈(刀錢)을 뜻하기도 했다. 이후 칼같이 생긴 것의 통칭이 되었으며, 또 종이를 헤아리는 단위로도 쓰여 100장을 지칭했다.

‘칼 도 刀’ 자가 파생시킨 글자들의 대표적 유형을 살펴보면, 첫째, 직접 칼을 지칭하는 글자. 둘째, 처음과 끝을 의미하는 글자. 셋째, 구별의 의미를 가지는 글자. 넷째, 새긴다는 의미를 지닌 글자들로 ‘칼’, ‘처음과 끝’, ‘구별’, ‘새기다’, ‘무기’ 등의 의미로 정리할 수 있다. ‘소 우 牛’ 자는 소의 전체 모습으로도 보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사실은 소의 머리로 보인다.

갑골문과 금문을 비교해 볼 때, 위쪽은 크게 굽은 뿔을, 그 아래의 획은 두 귀를, 세로획은 머리를 간단하게 상징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소는 ‘쟁기 려 犁’ 자에서처럼 정착 농경을 일찍 시작한 중국에서 농경의 주요 수단이었으며, 이 때문에 희생(犧牲)에서 처럼 농사와 조상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사용되었다.

解는 지금의 자형에서도 그 뜻을 정확하게 살필 수 있는 글자로, 소(牛소 우)의 뿔(角 뿔 각)을 칼(刀·도)로 분리해 내는 모습을 형상화했다. 다만 갑골문에서는 칼이 두 손으로 되었을 뿐 나머지는 같다. 칼 대신 손으로 뿔을 解體(해체)하여 갈라내는 모습이다.

그래서 解는 解體가 원래 뜻이며, 이후 理解(이해)하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는데 理解를 위해서는 ‘옥의 무늬 결(理)을 살피듯 그 특성을 자세히 풀어서(解)’ 解釋(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懈(게으를 해) = 心( 마음 심) + 解(풀 해)

마음이 느슨해지는 것을 가장 경계했던 때문일까, 마음(心 마음 심)이 풀어지는(解) 것을 표현하기 위해 心을 더하여 懈(게으를 해)를 만들었다.

懈[xiè] 해이하다. 느슨하다. 태만하다. 게으르다.

懈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蟹(게 해) = 虫(벌레 훼) + 解(풀 해)

蟹(게 해)는 갑각류 절지 동물인 ‘게’를 말하는데, 살을 파서 먹으려면 모든 뼈를 해체해야(解) 하는 해산물(虫)이라는 뜻을 표현한 글자임.

蟹 [xiè]… 게.

蟹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중국어 한자 카테고리 관련 글

중첩자 飙(폭풍 표)과 升(오를 승) 한자 자원 분석

辯(말씀 변) 解(풀 해) 辡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HSK6급

중국 검색엔진과 구글 유튜브 빙 사용 금지 2024년

更고칠 경, 便 편할 편, 硬 단단할 경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HSK5급

갑을병정무기… 십간, 자축인묘진사… 12간지 육십갑자 한자

乏 모자랄 핍 氏 성씨 씨 한자 자원 분석 hsk6급

戶(외짝문 호) 扁(작을 편) 한자 자원 분석 hsk 중국어 6급

邊(가 변) 疆(지경 강) 중국어와 한자 자원 분석 hsk6급

鞭策 (편책) 중국어 단어와 革(가죽 혁) 한자 자원 분석

바이두 중국인이 가장 많이 접속한 웹사이트 순위 2024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