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冰雹와 雨(비 우)들어간 한자 자원 분석 HSK6급

이번 포스팅은 중국어 우박을 뜻하는 冰雹와 雹(우박 박)의 구성자인 雨(비 우)가 들어간 한자의 자원 분석입니다.

冰雹 [bīngbáo] … 우박. (=雹, 雹子, 冷子)

雹 (우박 박) = 雨(비 우) + 包(쌀 포)

물방울들이 공중에서 갑자기 찬 기운을 만나 얼어 떨어지는 얼음 덩어리로 비(雨)가 얼음(⺀)을 포함(包)하여 내린‘우박’이다.

중국어 冰雹와 雨(비 우)가 들어간 한자의 자원 분석 HKS6급
중국어 冰雹와 雨(비 우)가 들어간 한자의 자원 분석 HKS6급

雨는 갑골문에서 하늘에서 떨어지는 ‘비’를 그렸는데, 금문에서 하늘이 둥글게 변했다. 농경을 주로 했던 고대 중국에서 ‘비’는 생존과 직결되었기에 雨가 기상을 대표하는 글자가 되었다.

고대 중국은 농경사회였기 때문에 농업을 매우 중시했었다. 농업의 성공 여부는 날씨와도 직결된다. 그래서인지 한자에는 날씨와 관련된 글자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雨자는 하늘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한자가 생성되기 시작했을 때부터 날씨와 관련된 글자를 만드는 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갑골문에 나온 雨자를 보면 하늘에 획이 하나 그려져 있고 그 아래로 점이 찍혀있었다. 이것은 구름 아래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雨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대부분이 날씨나 기상 현상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雨(비 우) = 一(한 일) + 冂(멀 경) + 氺(물 수)

“雨는 물이 구름으로부터 떨어진다는 뜻이다. 一(일)은 하늘을 본떴고 冂(경)은 하늘에 넓게 펼쳐진 구름을 그렸는데, 물방울이 그 사이에서 떨어진다.”고 하였다. 달리 해석한다면, 하늘(一)아래 한정된(冂) 지역에 국한하여 빗방울(氺)이 떨어지는 현상을 글자 속에 담고 있다.

‘비 우 雨’자는 갑골문과 금문을 통해 살펴보면, 하늘의 구름으로부터 ‘물’, 즉 ‘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비 우 雨’자의 자형 중 ‘一’의 모양은 ‘하늘’을 나타내고, ‘冂’의 모양은 ‘구름’을 나타내며 그 아래 속에는 ‘물’을 나타내는 ‘물 수 氺’자가 표현되어 있다.

雨 [yǔ]…비.
雨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雨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包(쌀 포)

“包(쌀 포)는 잉태한 모양으로 사람이 아이를 임신한 모양을 본뜬 것이다. 자형의 가운데(巳)는 뱃속에 있는데, 아직은 아이의 형태가 이루어지지 않은 모양을 본뜬 것이다.”고 하였다.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뱃속에 아이가 들어선 모양이며, 현재 자형 ‘巳’는 태아의 모습이다. 그러나 包(포)가 본뜻과는 달리 주로 ‘싸다’ ‘꾸러미’ 등의 의미로 쓰이자 육달월(月)을 더해 태아를 뜻하는 胞(포)를 별도 제작하였다. 包자는 ‘싸다’나 ‘감싸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包자는 勹(쌀 포)자와 巳(뱀 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巳자는 ‘뱀’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지만, 사실은 태아의 팔과 다리를 생략해 그린 것이다. 그러니 包자는 자궁과 태아를 함께 그린 것으로 해석된다. 包자의 갑골문을 보면 둥그런 원안에 人(사람 인)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자궁에 있는 아이를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包자의 본래 의미는 ‘둘러싸다’나 ‘아이를 배다’였다. 그러나 지금은 단순하게 무언가를 둘러싼다는 뜻으로만 쓰이고 엄마의 뱃속을 뜻할 때는 여기에 肉(고기 육)자가 더해진 胞(태보 포)자가 쓰인다.

勹(쌀 포)는 包(포)의 원래 글자로 사람이 팔로 감싼 모습을 나타낸다. 또는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태반을 가리킨다고도 해석한다. 싸다(이미 싼 것, 싸는 가방)의 뜻을 갖는다. 싸다의 의미에서 ‘전부 포함하다’, ‘전부 책임지다(보증한다)’. 전부의 의미에서 ‘전세내다’의 의미도 갖는다.

包(쌀 포)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包[bāo]… (종이나 천 따위로) 싸다. 싸매다.보자기. 봇짐. 봉지. 꾸러미. (물건을 담는) 포대. 가방. 자루. 주머니.

包 [bāo]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雲 (구름 운) = 雨(비 우) + 云(이를 운)

雲(구름 운)은 피어오르는 구름(云 이를 운).
雲자는 ‘구름’이나 ‘습기’, ‘덩어리’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雲자는 雨(비 우)자와 云(이를 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云자는 뭉게구름이 피어오른 모습을 그린 것으로 소전까지만 하더라도 ‘구름’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해서에서는 날씨와 관련된 글자임을 뜻하기 위해 雨자가 더해지게 되었다. 구름은 하늘 높은 곳에 떠 있으므로 雲자는 높음을 뜻하기도 하지만 금세 사라지기도 하기에 속되고 덧없는 것으로 비유되기도 한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간체자가 보급된 이후 다시 옛 글자인 云자를 사용하고 있다.
“雲은 산천의 기운을 뜻한다. 雨(우)로 구성되었으며 云(운)은 구름이 휘돌아가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고 하였다. 갑골문의 자형은 云(운)과 같은 모양이었는데, 云(운)이 ‘이르다’는 뜻으로 가차되자 雨(우)를 더하여 새로이 雲(운)자를 만들었다. 즉 빗방울(雨)을 머금고 있는 구름(云)이란 뜻이다.

雲 (구름 운)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雲 (구름 운)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霜(서리 상) = 雨(비 우) + 相(서로 상)

霜자는 ‘서리’나 ‘흰 가루’, ‘세월’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霜자는 雨(비 우)자와 相(서로 상)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相자는 나무를 ‘바라보다’라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霜자는 이른 새벽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붙는 현상인 ‘서리’를 뜻한다. 수증기가 흰 가루 모양으로 바뀌기 때문에 ‘흰 가루’라는 뜻도 파생되어 있다. 이외에도 나이가 들면서 나는 흰 머리를 새하얀 서리에 비유하여 ‘세월’이나 ‘흰 머리카락’이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霜(서리 상)의 구성은 비 우(雨)와 서로 상(相)으로 짜여 있다. 雨는 하늘(一)에서 내리는 빗방울(;;)은 한정된 곳(冂)에만 내리는 특징을 그려내고 있다. 또한 相은 나무(木)는 새로운 가지를 낼 때는 싹의 눈(目)을 띄우는데, 항상 대칭적으로 자리를 잡으니 대칭이라는 의미의 서로라는 뜻을 내포하게 되었다. 따라서 전체적인 의미는 하늘에서 비(雨)로 내리기는 하지만 서로 상대(相)적인 모양을 띄는 것은 서리일 뿐이다.
霜(서리 상)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霜(서리 상)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雪(눈 설) = 雨(비 우) + 彐(돼지 머리 계)

雪(눈 설)은 갑골문에서는 雨와 羽(깃 우)로 구성되어 깃털(羽)처럼 사뿐사뿐 내려앉는 ‘눈’을 그렸는데, 소전체에서 雨와 彗(비 혜)로 구성되어 내린 눈을 비(彗)로 쓰는 모습으로 변했고, 해서에서는 손(彐, 又 오른손 우)만 남아 지금의 雪이 되었다.
雪자는 ‘눈’이나 ‘흰색’, ‘고결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雪자는 雨(비 우)자와 彗(비 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彗자는 손에 빗자루를 쥐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빗자루’나 ‘쓸다’라는 뜻이 있다. 雪자의 금문을 보면 雨자 아래로 彗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내린 눈을 빗자루로 쓰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눈을 표현하기 위해 재미있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래서 본래 彗자가 적용된 䨮(눈 설)자가 쓰여야 하지만 편의상 획을 줄인 雪자가 ‘눈’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이외에도 雪자는 하얀 눈에서 착안 된 ‘고결하다’나 ‘씻어 버리다’ 라는 뜻도 파생되어 있다.

雪(눈 설)은 비 우(雨)와 돼지 머리 계(彐)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彐는 빗자루를 의미하는 비 혜(彗)의 생략형으로, 전체적인 의미는 하늘에서 비(雨)가 나리는 데 빗자루(彐)로 쓸어 내야 할 형태를 지니고 있는 게 백설(白雪)의 눈이라는 뜻이다.
雪(눈 설)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雪 [xuě] … 눈. (→瑞花) (눈처럼) 희다. 하얗다. 반짝이다. 빛나다.한을 풀다. 설욕하다.
雪(눈 설)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霞(노을 하) = 雨(비 우) + 叚(빌릴 가)

‘叚(빌릴 가)’는 ‘빌리다’라는 뜻이다. 빌리는 행위는 왜 일어나는가? 이는 자기에게 무엇인가 부족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부족한 그것을 ‘빈틈, 틈’이라고 할 수 있다. ‘叚(빌릴 가)’는 실제로 이러한 ‘빈틈, 틈’을 메우기 위하여 남에게서 ‘빌려 오는 행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叚(빌릴 가)’가 들어가 있는 한자는 모두 ‘빈틈, 틈’과 관련이 있다.
‘霞’는 ‘雨(비 우)’와 ‘叚(빌릴 가)’가 합쳐진 글자이다. 따라서 ‘霞’는 ‘비가 내린 후와 날이 완전히 맑아지는 틈’을 나타낸다. 무지개는 비가 내린 뒤, 공기 중에 미세한 빗방울이 유지된 상태에서 햇빛이 비치는 경우에 나타난다. 그러므로 ‘霞’는 ‘무지개’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무지개는 아름다운 모습으로 하늘에 나타난다. 그런데 비가 온 후의 노을도 아름다운 모습으로 하늘에 나타난다. 따라서 ‘霞’에는 ‘노을’이라는 뜻도 생기게 되었다.
霞(노을 하)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霞(노을 하)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霧 (안개 무) = 雨(비 우) + 務(힘쓸 무)

霧자는 ‘안개’나 ‘안개 자욱하여 어둡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霧자는 雨(비 우)자와 務(힘쓸 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務자는 ‘힘쓰다’나 ‘업무’라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 역할 만을 하고 있다. 안개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지면에 닿아 부옇게 떠 있는 현상을 말한다. 안개가 짙게 낀 아침은 날씨가 맑은 징조라는 설이 있다. 이렇듯 霧자는 날씨와 관계된 글자이기 때문에 雨(비 우)자가 의미 요소로 쓰였다.

霧 (안개 무)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霧 (안개 무)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露(이슬 로) = 雨(비 우) + 路(길 로)

露자는 ‘이슬’이나 ‘진액’, ‘좋은 술’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露자는 雨(비 우)자와 路(길 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路(길 로)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으로 ‘길’이라는 뜻이 있다. 이슬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워진 물체에 부딪히며 생기는 물방울을 말한다. 露자는 그 이슬을 뜻하기 위해 路자에 雨자를 결합한 것으로 길 위해 맺힌 맑고 깨끗한 이슬을 뜻하고 있다. 새벽의 이슬은 맑고 깨끗한 물을 뜻하기도 하기에 露자는 ‘좋은 술’에 비유되기도 한다.

露(이슬 로)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露(이슬 로)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電(번개 전) = 雨(비 우) + 申(펼 신)

電(번개 전)은 하늘을 가르며 번쩍이는 번개(申 펼신, 아홉째 지지 신)를 그렸는데, 이후 雨를 더해 雲과 電이 되었다.

電자는 ‘번개’나 ‘전기’, ‘빠름’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電자는 雨(비 우)자와 申(펼 신)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申자는 번개가 내려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니 電자의 하단에 있는 것은 申자가 변형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즉 電자는 비구름 사이로 벼락이 떨어지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電자는 ‘번개’나 ‘전기’라는 뜻이 있지만, 번개가 치는 속도는 매우 빠르므로 ‘빠르다’나 ‘번쩍이다’라는 뜻이 파생되어 있다.

비 우(雨)와 펼 신(申)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申(신)은 번갯불의 모양, 雨(우)는 천체에 관계(關係)가 있는 글자임을 나타냄. 電(전)은 본디 申(신)이라고 써서 번갯불의 뜻이었던 것을, 申(신)이 나중에 여러 가지 뜻으로 쓰므로 그것들과 구별하여, 본래의 뜻일 때에는 雨(우)를 더한 것임.

電(번개 전)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diàn] 번체 電… 전기. 감전하다[되다]. 약칭‘报’(전보) 또는 ‘话’(전화)의 준말.

电(번개 전)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霰(싸라기눈 산) = 雨(비 우) + 散(흩을 산)

霰(싸라기눈 산)은 흩어져(散흩을 산) 내리는 싸락 눈.

霰(싸라기눈 산)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霰(싸라기눈 산)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雷(우레 뢰) = 雨(비 우) + 田(밭 전)

雷(우레 뢰)는 번개(申) 칠 때 나는 천둥소리를 그렸으나 申이 田로 바뀌었다. 雷자는 ‘우뢰’나 ‘천둥’, ‘사나움’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雷자는 雨(비 우)자와 田(밭 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雷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천둥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재미있는 발상이 적용되었다. 천둥소리는 귀로는 들리지만,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갑골문에서는 소리로만 들리는 천둥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논밭 사이로 소리가 휘돌아 나가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소전에서는 날씨와 관련된 글자임을 뜻하기 위해 雨자와 3개의 논밭이 그려졌었지만, 해서에서는 밭이 하나로만 표현되면서 지금의 雷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雷(우레 뢰)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雷(우레 뢰)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霹(벼락 벽) = 雨(비 우) + 辟(피할 피)

霹(벼락 벽)은 하늘을 가르며(辟 피할 피) 내리치는 ‘벼락’.

霹(벼락 벽)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霹(벼락 벽)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靂(벼락 력) = 雨(비 우) + 歷(지날 력)

靂(벼락 력)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雳[lì] 번체 靂…(→霹雳) 歷(지날 력) 의 간체자는 力(힘 력)을 쓴다.

雳[lì]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霖(장마 림) = 雨(비 우) + 林(수풀 림)

霖(장마 림)은 비가 숲(林 수풀 림)처럼 쏟아지는 장맛비.

雩(기우제 우) = 雨(비 우) + 于(어조사 우)

雩(기우제 우)
雩(기우제 우)는 雨에 于(어조사 우)가 더해졌는데, 于가 입에서 나오는 말을 형상화한 것을 보면, 하늘에 비를 내려 달라고 애원하며 비는 제사를 말한다.

雩(기우제 우)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雩(기우제 우)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霝 (비 올 령) = 雨(비 우) + 𠱠(시끄러울 령)

𠱠 (시끄러울 령) = 口(입 구) + 吅(부르짖을 훤)

비가 오기를 여러 사람이 함께 입(口 입 구) 모아 비는 모습을 그린 글자

霝(비 올 령)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靈 (신령 령) = 霝(비 올 령) + 巫(무당 무)

霝(비 올 령)자에 기우제를 주관했던 巫(무당 무)가 자형 하부에 추가된 것이 靈(신령 령).
靈 (신령 령)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灵 [líng] 번체 靈…(동작이나 기능 따위가) 재다. 재빠르다. 날래다. 예민하다. 민감하다. 잘 듣다. 영리하다. 약빠르다. 혼백. 혼. 정신. 영혼.

零 (나머지 령) = 雨(비 우) + 令(하여금 령)

零자는 ‘떨어지다’나 ‘비 오다’, ‘없음’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零자는 雨(비 우)자와 令(하여금 영)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令자는 ‘명령’이라는 뜻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런데 갑골문에서는 하늘에서 굵은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습만이 그려져 있었다. 그러나 소전에서는 令자가 발음역할을 하게 되면서 지금의 零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零자는 본래 ‘비가 오다’나 ‘(비가)떨어지다’라는 뜻으로 쓰였었지만, 지금은 영상(零上)이나 영하(零下)처럼 0℃를 기준으로 말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零 (나머지 령)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líng]…영세하다. 자질구레하다. 소량이다. (↔整) 우수리. 끝수. 두 개의 수량사 가운데 놓여 비교적 많은 양 아래 비교적 적은 양이 덧붙여 있음을 표시함.

[líng]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霸(으뜸 패, 두목 패) = 雨(비 우) + 䩗(으뜸 패)

霸(으뜸 패, 두목 패)는 䨣(비에 젖은 가죽 박)과 月(달 월)로 이루어졌는데, 䨣은 가죽(革가죽 혁)이 비(雨)에 젖어 ‘뿌옇게’ 변함을 말한다. 그래서 霸는 달(月) 주위로 달빛이 뿌옇게(䨣) 형성되는 때를 말했으나, 이후 ‘霸者(패자)’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霸(으뜸 패, 두목 패)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霸(으뜸 패, 두목 패)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漏 (샐 루) = 氵(물 수) + 屚(샐 루)

屚 (샐 루) = 雨(비 우) + 尸(몸 시, 주검 시)

漏(샐 루)의 구성은 물줄기가 갈라지고 합해지는 강을 본뜬 水(수)를 간략히 세 개의 물방울로 표시한 수(氵)와 샐 루(屚)로 이루어졌다. 屚(루)는 주검 시(尸)와 비 우(雨)로 구성되었는데, 尸(시) 늘어져 있다는 뜻이다. 엎드려 있는 모양을 본떴다. 갑골문에 표현된 자형은 사람의 옆모양을 그려 놓았지만 다리부분이 구부러져 있어, 무릎을 굽히고 웅크리고 있는 모양이다. 죽은 사람을 뜻해 ‘주검’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집의 상부를 이루는 지붕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雨(우)에 대해서도 허신은 “雨는 물이 구름으로부터 떨어진다는 뜻이다. 一(일)은 하늘을 본떴고 冂(경)은 구름을 상형하였는데, 물방울이 그 사이에서 떨어진다.”고 하였다. 달리 해석한다면, 하늘(一)아래 한정된(冂) 지역에 국한하여 빗방울이 떨어지는 현상을 글자 속에 담고 있다. 屚(루)는 지붕(尸)에서 빗물(雨)이 샌다는 데서 ‘새다’는 뜻을 지녔는데, 氵(수)를 더해 그 뜻을 보다 명확히 하였다.

早漏(조루)는 성교할 때에 파트너의 여성이 성적으로 만족하지 않을 때 남성이 빨리 사정해 버리는 것을 말한다. 이와 반대말은 지루(遲漏)이다.

漏(샐 루)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漏(샐 루)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震(우레 진) = 雨(비 우) + 辰(별 진)

震자는 ‘벼락 치다’나 ‘천둥’, ‘지진’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震자는 雨(비 우)자와 辰(지지 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辰자는 고대에 사용하던 낫의 일종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震자는 벼락이 내리치며 나는 ‘우렛소리’를 뜻한다. 벼락이 치면 큰 소리가 함께 울려 퍼지기 때문에 震자는 ‘벼락’이라는 뜻 외에도 ‘진동’이나 ‘지진’이라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

震(우레 진)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震(우레 진)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霄(하늘 소) = 雨(비 우) + 肖(닮을 초)

하늘 소 霄’자는 부수이자 의미부인 ‘비 우 雨’자와 소리부인 ‘닮을 초 肖’자로 이루어진 형성(形聲)자이다. ‘닮을 초 肖’자는 잘게(小) 썰어 놓은 고깃덩어리(肉)를 말했다. 고기를 잘게 썰어 놓으면 고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대체로 비슷해 보이며 구분이 힘들어진다. 이로부터 ‘닮을 초 肖’자에는 ‘작다’는 뜻 이외에도 ‘닮다’는 뜻이 나오게 되었다. 보통 불초(不肖)라고 하면 자식이 부모 앞에서 자신을 낮추어 부르는 말인데, ‘선조만큼 훌륭하게 닮지(肖) 못한(不) 못난 자식 ’라는 뜻이다. 이로부터 ‘닮을 초 肖’자에는 다시 어리석고 별 볼 일 없는 사람이라는 뜻이 생겼다.
霄(하늘 소 )자는 하늘에서 비와 싸라기눈이 섞여 내린다는 뜻이다. 이로부터 ‘하늘’, ‘진눈깨비’, ‘태양 곁에 일어나는 운기(雲氣)’, ‘밤’, ‘구름’, ‘꺼지다’ 등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霄(하늘 소)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xiāo]… 구름. 하늘. 천공(天空). 진눈깨비.

霄(하늘 소)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霍(빠를 곽) = 雨(비 우) + 隹(새 추)

빗(雨)속을 빨리 날아가는 새(隹). 중국 역사의 유명한 곽 광(霍 光)의 이름에 사용되는 한자.

霍(빠를 곽)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霍(빠를 곽)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아래 한자들은 雨(비 우)와 而(말이을 이, 수염 수)사 함께 사용된 한자들로 而가 사용된 한자 需 儒 懦 孺 濡 耍 耐 耎 软 耑 端 瑞 喘 링크를 참고하시길 부탁드립니다.

需(쓰일 수) = 雨(비 우) + 而(말 이을 이)

需(쓰일 수)는 목욕재계하는 제사장의 모습이었는데, 기우제가 가장 중요한 제사였기에 자형이 雨로 변했다.

需(쓰일 수)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需(쓰일 수)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儒 (선비 유) = 亻(사람 인) + 需(쓰일 수)

需(쓰일 수)기우제을 지내는 사람을 표시하기 위해 人(사람 인)을 더한 儒(선비 유)가 만들어졌고, 이들이 지식의 대표 계층이라는 뜻에서‘학자’라는 의미가 나왔다.

儒 (선비 유)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儒 (선비 유)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懦(나약할 나) = 忄(마음 심) + 需(쓰일 수)

懦(나약할 나)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懦(나약할 나)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濡(적실 유) = 氵(물 수) + 需(쓰일 수)

濡(적실 유)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濡(적실 유)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孺(젖먹이 유) = 子(아들 자) + 需(쓰일 수)


孺(젖먹이 유)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孺(젖먹이 유)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而가 사용된 한자 需 儒 懦 孺 濡 耍 耐 耎 软 耑 端 瑞 喘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국어 우박이라는 뜻을 가진 冰雹 단어에 나오는 雹 (우박 박)자의 기본 구성 한자인 雨(비 우)자가 포함된 한자들을 살펴보았습니다. 雨(비 우)자는 “一(하늘) 에서 冂(구름)이 氺(물) 물이 되어 내린다”라는 의미를 꼭 기억합시다.

중국어 한자 카테고리 관련 글

중국어 播放, 放, 方(모방),播,番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冰雹와 雨(비 우)들어간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别墅 별장, 予(줄 여)사용된 한자 자원 분석

币 화폐 폐 㡀 해질 폐 憋 모질 별 한자 자원 분석

중첩자 飙(폭풍 표)과 升(오를 승) 한자 자원 분석

辯(말씀 변) 解(풀 해) 辡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HSK6급

중국 검색엔진과 구글 유튜브 빙 사용 금지 2024년

更고칠 경, 便 편할 편, 硬 단단할 경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HSK5급

갑을병정무기… 십간, 자축인묘진사… 12간지 육십갑자 한자

乏 모자랄 핍 氏 성씨 씨 한자 자원 분석 hsk6급

戶(외짝문 호) 扁(작을 편) 한자 자원 분석 hsk 중국어 6급

邊(가 변) 疆(지경 강) 중국어와 한자 자원 분석 hsk6급

鞭策 (편책) 중국어 단어와 革(가죽 혁) 한자 자원 분석

바이두 중국인이 가장 많이 접속한 웹사이트 순위 2024년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