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得已(부득이) 중국어 HSK6급 己巳已㔾卩巴 자원 분석 한자

이번 포스팅은 우리말 부득이하다는 뜻의 중국어 HSK6급 단어 不得已(부득이)를 구성하는 不(아닐 부), 得(얻을 득)와 모양이 비슷한 한자들인 己(몸 기), 巳(뱀 사), 已(이미 이), 㔾, 卩(병부 절), 巴(꼬리 파) 자의 자원 분석을 살펴보겠습니다.

不得已 [bùdéyǐ]… 부득이하다.

不得已 [bùdéyǐ]… 부득이하다. 마지못하다. 하는 수 없이. (→无可奈何).

不得已(부득이) 중국어 HSK6급 己巳已㔾卩巴 자원 분석 한자
不得已(부득이) 중국어 HSK6급 己巳已㔾卩巴 자원 분석 한자

不(아닐 부) =  丆(구결자 면) + 丨(뚫을 곤) + 丶(점 주) 

不(아닐 부) 자원 분석 1

不자는 아니다나 못하다, 없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不자는 땅속으로 뿌리를 내린 씨앗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아직 싹을 틔우지 못한 상태라는 의미에서 아니다나 못하다, 없다는 뜻을 갖게 되었다. 참고로 不자는 부나 불 두 가지 발음이 서로 혼용되기도 한다. 꽃의 씨방의 모양, 씨방이란 암술 밑의 불룩한 곳으로 과실(果實)이 되는 부분(部分), 나중에 「… 하지 않다, … 은 아니다」란 말을 나타내게 되었음. 그 때문에 「새가 날아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음」을 본뜬 글자라고 설명(說明)하게 되었음.

不(아닐 부) 자원 분석 2

아닐 不(불)의 자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설문해자에서는 자형의 위쪽 가로획(一)은 하늘을 상징하고 나머지 부분은 새를 그려 새가 하늘로 날아올라 다시는 내려오지 않다는 의미를 형상화 했으며 그래서 아니다는 부정의 의미가 생겼다고 했지만, 갑골문의 자형과 그다지 맞아 보이지는 않는다. 그래서 부정을 뜻하는 아니다는 부사로 가차 되어 쓰이고 있답니다.
不은 갑골문에서 위쪽 역삼각형은 부푼 씨방을, 아랫부분은 꽃대를 그린 것으로, 꽃대가 不의 원래 뜻이며 부정사로서의 용법은 이후에 가차된 의미로 보는 것이 정설이다.
그것은 고대 문헌에서 不과 같은 자원에서 출발했으며 같은 의미로 자주 쓰이는 丕에서도 증명을 삼을 수 있다. 꽃대를 그린 丕가 크다나 으뜸의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은 정착농경을 했던 고대 중국의 생활환경과 관련되어 있다.

즉 고대 중국에서 곡물숭배는 꽃 토템으로 이어졌고, 꽃이나 씨는 인간의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곡물 씨의 상징으로서 그 중요성은 대단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꽃이 화사하게 핀 모습을 그린 華(꽃 화)가 중국의 상징이 되었고, 꽃꼭지를 그린 帝(임금 제)가 최고의 지배자를 뜻하고, 꽃부리를 뜻하는 英(꽃부리 영)이 최고의 인물을 지칭하게 된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꽃대를 그린 不이 갑골문 단계에서 이미 부정사로 가차되어 쓰이게 되자 이에 지사부호를 더한 丕(클 비)가 꽃대나 새 생명을 뜻하는 원래의미로 쓰였다. 하지만 丕(클 비) 역시 이후 꽃대가 상징하는 새 생명의 탄생이라는 원래 의미보다는 크고 위대하다는 추상적 의미로 더 자주 쓰이게 되자, 원래 의미를 나타낼 때에는 肉(고기 육)을 더하여 胚(임신할 배)를 만들어 분화했다.

不(아닐 부)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不 [bù] 아닐 부 … 동사·형용사와 다른 부사의 앞에 쓰여 부정을 표시함. 현재·미래의 행위·동작·심리 상태·의지·가능성을 부정. 일상적인 혹은 습관적인 동작이나 상황을 부정.
不 [bù] 아닐 부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歪(기울 왜) = 丕(클 비) +  正(바를 정)

歪(기울 왜)자는 바른 것(正)이 아님(不)을 말한다.
正은 갑골문에서 성(囗 나라 국)과 발(止 그칠 지)을 그려 성을 치러 가는 모습을 그렸는데, 이후 성곽을 그린 囗이 가로획(一)으로 변해 正이 되었으며, 征伐(정벌)이 원래 뜻이다. 정벌은 그 옛날에도 최후의 수단이어야 했고 언제나 정의로운 것이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正에 바르다는 뜻이 나왔다. 그러자 원래의 征伐을 나타낼 때에는 彳(조금 걸을 척)을 더하여 征(칠 정)으로 분화했다.

否(아닐 부) = 不(아닐 부)  + 口(입 구)

不(아닐 부)자는 땅속으로 뿌리를 내린 식물을 그린 것으로 아니다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아니다는 뜻을 가진 不자에 口자를 결합한 否자는 아니라고 말하다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간단히 말하자면 不자는 잘못되다나 못하다는 뜻이고 否자는 옳지 않다와 같이 상황을 부정(否定)하는 의미로 쓰인다.

否(아닐 부)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否 [fǒu] 아닐 부 … 부정(否定)하다. (부정할 때) 아니다. [구어(口語)의 不와 같음]. 의문문 맨 끝에 쓰여 물음을 나타내는 조사로 쓰임. [구어(口語)의 么 吗와 같음] 

否 [fǒu] 아닐 부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杯(잔 배) =  木(나무 목) + 不(아닐 부)

杯(잔 배)자는 잔이나 술잔을 뜻하는 글자이다. 고대에는 나무를 깎아 만든 잔을 사용했으니 木자는 잔의 재질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소전에서는 桮(술잔 배) 자가 술잔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여기서 否(아닐 부) 자는 뜻과는 관계없이 술잔의 형태를 표현하고 있다. 해서에서는 不자가 들어간 杯자로 바뀌긴 했지만, 글자의 형태로만 보면 본래는 잔을 표현하려 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杯(잔 배)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杯 [bēi] 잔 배 … 잔. (=杯子) (→盅) 트로피(trophy). 잔. (=桮) 

杯 [bēi] 잔 배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得 (얻을 득) =  彳(조금 걸을 척) + 㝵(그칠 애)

㝵(그칠 애, 얻을 득, 푸른 돌 의)=  조개 패(貝)의 생략형  + 寸(마디 촌) 

얻을 得(득) 자에서 彳(조금 걸을 척)은 허벅지와 종아리 그리고 발을 그려낸 부수로 잰걸음으로 걷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㝵(그칠 애) 자는 돈을 의미하는 조개 패(貝)의 생략형과 손을 의미하는 마디 촌(寸)으로 구성되었다. 바다 조개인 마노 조개는 동남아 일부 지역에서만 나는 귀한 조개다. 조개는 화폐(貨幣)로 쓰여 가치가 있다. 즉 돈(貝)이 될 만한 무언가를 손으로 줍는다(寸)는 뜻이 담겨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의미는 잰걸음으로 다니면서(彳) 무언가 재화가 될 만한 물품을 손으로 거두어들인다(㝵)하여 얻는다는 뜻을 담게 되었다.

得 (얻을 득)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得 [dé] 얻을 득… 얻다. 획득하다. (↔失(1), 失去) (→获得, 得到) 계산하여 값을 얻다. 알맞다. 좋다. … 할 만하다.

得 [dé] 얻을 득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礙(막을 애) =  石(돌 석) + 疑(의심할 의) (간체자 碍) 

礙(막을 애)자에서 石은 갑골문에서 언덕((厂 기슭 엄) 아래 놓인 돌덩이(口)의 모습을 그렸다. 疑는 지팡이를 짚은 사람이 길에서 두리번거리며 어디를 가야 할지 몰라 주저하고 있는 모습이며, 금문에 이르면 발(止 그칠지)을 더해 그러한 행위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래서 疑는 갈 길을 잃은 모습으로부터 주저하다, 迷惑(미혹)되다, 疑心(의심)하다 등의 뜻이 생겼다.

따라서 礙(막을 애)는 돌(石)에 길이 막혀 갈 곳을 가지 못하는(疑) 모습이다. 이 때문에 礙(막을 애)는 본래 갖추어야 하는 신체적 조건의 결함으로 인해 자신이 펼쳐야 할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뜻하게 되었다.

이후 礙(막을 애)는 碍로 바뀌었는데, 지금은 간체자인 碍가 더 자주 쓰여 정자인 礙의 지위를 대신하고 있다. 疑 대신 들어간 㝵는 得(얻을 득)의 본래 글자로 손(又 오른손 우)에 조개(貝 조개 패)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얻다는 뜻을 그려냈다. 그렇게 됨으로써 碍는 돌(石)과 같은 障碍物에 막혀 자신이 얻어야(㝵) 하는 부분을 얻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뜻으로 변하게 되었다.

礙(막을 애)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碍[ài] 막을 애  번체 礙 … 방해하다. 장애가 되다. 지장을 주다. 거치적거리다. 해치다.
거리끼다. 걸리다. 거북하다.

碍 [ài] 막을 애  번체 礙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障碍[zhàngài]… 장애(하다). 방해(하다). (→妨碍, 阻碍) 已(그칠 이)

已자는 이미나 벌써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已자는 己(자기 기) 자와 매우 비슷하게 그려져 있다. 다만 已자는 己자보다 삐침이 조금 올라와 있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已자는 본래 다 자란 태아를 그린 것이었다. 已자에 이미나 벌써라는 뜻이 있는 것도 배 속의 아이가 다 자라 이미 출산이 임박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지금의 已자는 이미나 벌써라는 뜻 외에도 매우나 반드시, 이것과 같은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已(그칠 이)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已 [yǐ] 그칠 이 … 그치다. 끝나다. 멎다. 이미. 벌써. (→既(1), 已经) 나중에. 다음에. 조금 후에. 얼마 후.

已 [yǐ] 그칠 이 –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己(몸 기)

己자는 몸이나 자기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여기서 말하는 몸이란 나 자신을 뜻한다. 己자의 유래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己는 방위상 중궁을 뜻한다. 만물이 안으로 갈무리하므로 구부러진 모양을 본떴다. 己(기)는 戊(무) 다음에 오며, 사람의 배를 상징한다.  일부에서는 사람이 몸을 구부린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 굽의 있는 새끼줄을 그린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런데 己자와 결합한 글자를 보면 새끼줄이 구부러져 있는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다만 己자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여전히 나 자신이라는 뜻을 가지게 된다. 己자는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상용한자에서는 뜻과 관련된 글자가 없다. 다만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새끼줄이나 구부러진 모양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니 상황에 따른 적절한 해석이 필요하다.  문자가 있기 전 고대 사람들이 새끼줄이나 띠 따위에 매듭을 지어 기호로 삼은 結繩文字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흔적이 기록할 記(기)나 벼리 紀(기)에 남아 있다. 그러나 후대로 오면서 본뜻을 잃고 일어날 起(기)나 왕비 妃(비)에서처럼 사람이 무릎을 꿇고 있는 모양도 동시에 나타내고 있지만 그 기원은 다르다.

己(몸 기)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己 [jǐ] 몸 기 … 자기(自己). 자신. 기. 십간(十干)의 여섯 번째. (→干支) 사욕(私欲).

己 [jǐ] 몸 기 –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妃(왕비 비, 짝지을 배) = 女(여자 여) + 己(몸 기)

妃 외에도 己(몸 기) 자가 사용된 한자들은 다음가 같다.
杞  紀  記  配  起(일어날 기)

巳(뱀 사)

巳자는 뱀이나 여섯째 지지(地支)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巳자는 몸을 틀고 있는 모습이 마치 뱀과 같다고 하여 뱀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지만, 본래는 태아를 그린 것이다. 그래서 巳자와 已(이미 이) 자의 기원은 같다. 다만 해서에서부터는 已자가 삐침이 반만 채워진 모습으로 그려졌지만 巳자는 삐침을 채워 뱀이나 여섯째 지지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그러나 巳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胞(태보 포) 자처럼 여전히 태아와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巳(뱀 사)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巳[sì] 뱀 사 … [십이지(十二支)의 여섯째.] 사시(巳時) 

巳 [sì] 뱀 사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包(쌀 포) = 勹(쌀 포) + 巳(뱀 사), 己(몸 기)

包는 잉태한 모양으로 사람이 아이를 임신한 모양을 본뜬 것이다. 자형의 가운데(巳)는 뱃속에 있는데, 아직은 아이의 형태가 이루어지지 않은 모양을 본뜬 것이다.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뱃속에 아이가 들어선 모양이며, 현재 자형 巳는 태아의 모습이다. 그러나 包(포)가 본뜻과는 달리 주로 싸다 꾸러미 등의 의미로 쓰이자 육달월(月)을 더해 태아를 뜻하는 胞(세포 포)를 별도 제작하였다.
异(다를 이) = 廾(받들 공) + 己(몸 기)
异[yì] 다를 이 이체 異 … 같지 않다. 다르다. 이상하다. 기이하다. 특별하다. 뛰어나다.

异 [yì] 다를 이 이체 異 –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巳(뱀 사)가 사용된 글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祀(제사 사) 抱 泡 袍 砲 雹 鮑 倦 巷 港 巽 選 遷 撰 饌 韆 巸(아름다울 이), 熙(빛날 희) 

㔾(병부 절) =卩(병부 절)

㔾, 卩 (병부 절) 자는 무릎을 꿇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뜬 상형문자로, 기다란 막대기 모양의 병부를 닮았다 하여 병부 절이라고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병부(兵符)는 왕과 지방관리 사이에 미리 나눠 갖고 있던 신표(信標)를 이르는 말로, 이 신표가 있어야만 군사의 이동이 가능했었습니다.

卩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대부분이 무릎을 꿇고 있는 사람과 관련된 뜻이 있으며, 卩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㔾자나 卪자로 모양이 변합니다.

㔾, 卩(병부 절) 네이버 한자 바로가기

巴(꼬리 파, 땅이름 파) =  巳(뱀 사) + 丨(뚫을 곤)

巴(꼬리 파) 자는 몸(己)에 달라붙은(丨) 꼬리이며, 뱀이 똬리를 틀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입니다.
巴 [bā] 꼬리 파 … 바라다. 기다리다. (바싹) 달라붙다. (=扒) 단단히 붙다. 말라서 붙다.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다. (착) 달라붙은 것.

巴 [bā] 꼬리 파 – 네이버 중국어 사전 바로가기

巴(꼬리 파, 땅이름 파)가 사용된 대표적인 글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爸 色 絶 艶 艷 把 芭 琶 肥 爬 邑 邕 浥 扈  雝  廱

爸 [bà] 아비 파 = 父(아버지 부) + 巴(꼬리 파)

爸 [bà] 아비 파 … 아빠. 아버지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중국에서는 아주 자주 사용하는 글자입니다.

마무리

우리가 한자어인지 모르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이 아래와 같이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부득이, 어차피, 설마, 도대체, 물론, 심지어, 순식간 ,별안간, 오밀조밀, 하필, 지금, 시방, 점점, 역시, 과연, 혹시, 어색하다 등 다음 기회에 자세히 한자와 자원 분석하는 시간을 갖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어 한자 카테고리 관련 글

不得已(부득이) 중국어 HSK6급 己巳已㔾卩巴 자원 분석 한자

중국어 博大精深 甫(클 보) 尃(펼 부)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护照 여권, 蒦(자 확), 召(부를 소)의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HSK6급 단어 剥削, 录(기록할 록)과 肖(닮을 초)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签证 비자 佥 僉(다 첨) 㦰(다할 첨) 韱 한자 자원

壽 목숨 수 疇 濤 鑄 禱 躊 籌 燾 尋 寻 난이도 2급 한자

중국어 波浪과 皮, 良 좋을 양, 艮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播放, 放, 方(모방),播,番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冰雹와 雨(비 우)들어간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别墅 별장, 予(줄 여)사용된 한자 자원 분석

币 화폐 폐 㡀 해질 폐 憋 모질 별 한자 자원 분석

중첩자 飙(폭풍 표)과 升(오를 승) 한자 자원 분석

辯(말씀 변) 解(풀 해) 辡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HSK6급

중국 검색엔진과 구글 유튜브 빙 사용 금지 2024년

更고칠 경, 便 편할 편, 硬 단단할 경 한자 자원 분석 중국어 HSK5급

갑을병정무기… 십간, 자축인묘진사… 12간지 육십갑자 한자

乏 모자랄 핍 氏 성씨 씨 한자 자원 분석 hsk6급

戶(외짝문 호) 扁(작을 편) 한자 자원 분석 hsk 중국어 6급

邊(가 변) 疆(지경 강) 중국어와 한자 자원 분석 hsk6급

鞭策 (편책) 중국어 단어와 革(가죽 혁) 한자 자원 분석

바이두 중국인이 가장 많이 접속한 웹사이트 순위 2024년 2월